어디서 읽은 글에 ‘태껸’이 거슬려서 조사를 좀 해봤다.

우리 고유어 표기에 대체로 거센소리와 된소리가 없다는 점에서 한자의 중국식 발음과 같은 외래어가 우리말화된 경우가 아닌가 추측된다 1938년간 조선어사전에는 택견에 이두표시를 하고 태껸에 보라고 되어 있다 기록상 현재까지 발견됫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재물보(이성지,조선 정조)에는 탁견이라 되어 있고 해동죽지(1921 최영년)에도 탁견이라 되어 있다 해동죽지에 나오는 탁견희는 한자로 표기된 유일한 예다 해동죽지가 칠언 절구의 한시로 되어 있고 주석에 한글로 탁견이라고 한것을 미루어 보아 탁견은 단순히 한자의 독음을 취한것으로 볼수 있다

송덕기는 탁견이라 하고 탁견하는 사람을 택견꾼이라 부른다고 증언하였다 그러나 고령자로서 택견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택견이 맞다고 하고 표준어 책정 사업에 참여한 서울 토박이 지식인들도 한결같이 택견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한가지 유의할것은 택견이나 이와 유사한 용어가 서울가 경기 일원을 제외한 다른 지방에서는 사용된 예가 발견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제반 사정에 비추어 보면 기록에 명기되어 있는 탁견이 실제로는 택견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는 ㅏ를 ㅐ로 발음하는 서울 사투리의 한사례가 아닌가 한다 서울 경기의 서민층에서 학교를 핵교로 아지랑이를 애지랭이로 발음하고 있고 아기와 씨름을 결합하여 애기씨름이라고 한것으로 보아 탁견도 택견으로 변음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택견으로 표기된 것으로는 1919년 자산 안확이 저술한 조선무사영웅전이 있고 1918년에 제작되어 1921년에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어사전에도 택견으로 기재돼어 있다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부터 사전에는 태껸으로 표기되어 왔는데 1983년 문화재 지정 당시 택견으로 정하였다.
—————————–출처 : 빛깔있는 책들 ‘택견’—————————–

이 글을 쓴 대한 택견 협회장 이용복씨의 정통성에 대해서는 말들이 많지만 용어 표기에 대해서는 좋은 자료인 것 같아서 옮겼다.

요약하자면, 옛문헌에 ‘탁견’,’태껸’,’척견’,’택견’등을 찾아 볼 수 있고, 서울 사투리로 인해 ‘탁견’→’택견’으로 바뀐 듯 하고, 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사전에는 ‘태껸’으로 표기되었지만 이후 문화재 지정당시 ‘택견’을 표준 표기로 하였다.

이에 덧붙이는 내 생각은, ‘태껸’은 사전에 나와있고 ‘택견’은 문화재로 지정된 이름이니 둘 다 맞는 표현이다.

그러나 사실상 택견을 가르치는 택견 단체들이 ‘택견’이란 표기를 쓰다보니 ‘택견’이라는 표기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택견’이라 쓰되, ‘태껸’이라는 표기도 인정을 해야겠다.

덧말> 사전들은 뭐하나? ‘택견’이 얼마나 많이 쓰이는데 표제어로 넣지도 않고… ㅡ.ㅡ;

http://blog.daum.net/tomatoagi/5539537
다만 ‘태껸’이라는 용어가 눈에 거슬리네요. ‘택견’으로 표준화 되었는데…
나도 저렇게 발 올려보는게 꿈이었는데…

http://www.tkbattle.com/
‘고려대’ ‘고려대OB’ 팀보면 우리 동아리 사람들 나옵니다. ㅋㅋㅋ
나도 열심히 운동해서 출전해봐? ^_^;

http://news.kbs.co.kr/article/news_8am/200609/20060921/1223997.html
방송도 탔군요.

http://www.kbs.co.kr/1tv/sisa/live_point/vod/1417218_17049.html
푸하하. 우리 동아리 방송 계속 탄다~!

지금 TV에서 세계국술대회에 대한 프로그램이 방영하고 있다. 미국내에 널리 퍼져 우리 한국을 미국인들에게 알린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세계 130만명이란다… 태권도와 함께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국위 선양을 하는 기특한 무술이다.

그러나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하나 같이 전통 무예임을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이라함은 옛 조상들로부터 이어저 내려온 문화라고 생각한다. 과연 국술이나 태권도가 옛 조상들이 해오던 무술인가? 내가 알기로는 아니다. 뭐 내가 이 글을 쓰기 위해서 많은 연구를 한 것은 아니지만 나 나름대로 무술에 관심을 가지며 본 바에 의하면 – 결론부터 짚어가자면 – 현재, 택견 이외에는 전통 무술은 없다는 것이다.

전통 무술을 자처하는 무술들을 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태권도도 예외는 아니다.) 바로 ‘해방 이후 누가(혹은 어느 단체에서) 무엇을 보고(옛 무예문헌 또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무술들) 창시해낸 것’이라는 점이다. 기억나는 대로 읊어 보자면, 태권도, 기천, 국술, 궁중 무예, 18반 무예, 뫄한머루, 수박도, 한무도 등등이 그것들이다. 따라서 이 무술들은 선조들로부터 전승 받은 사실이 없다. 대부분의 경우, 일제 시대에 공수, 당수, 유도, 검도 등 일본 무술을 익힌 무술인들이 해방이후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수련 과정들을 ‘창시’한 것이다. 무엇을 보고 만들었냐만 다르다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 놓고 이름도 그럴싸하게 전통적인 이름을 지어놓는 것이다. 좀 더 심하게, 솔직하게 말하자면 일본 무술을 전통 자료로 포장해놓고 전통 무예라 선전 하는 것이다. 나는 그 점이 싫다. 사실 일본 무술과 별 기본적인 차이가 없는데도 유구한 역사를 가진 전통 무예인 척하는 것이 싫다. 국기라 불리는 태권도도 해방 직후 여러 일본 무술 도장 사범들이 모여서 기술 체계를 완성한 무술이다. 그 과정에 택견꾼은 한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이름은 택견하고 비슷한 태권도로 지어서 역사서 속의 모든 ‘텩견’,’탁견’,’태껸’을 자기네 들이 계승한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고 있다. 체육교과서엔 아직도 그렇게 써있을 것이다. 삼국시대 고구려의 상무정신과 신라 화랑도부터 시작해서 고려시대 외침 얘기 좀 넣어주고 조선시대 자료 좀 소개하고 이런 역사적 전통을 이어받아 누가(대부분 대한민국 전/현직 OO협회 회장일 것이다.) 언제 정립해서 계승하였다는 것이 이들의 공통적인 레퍼토리이다.

내 생각에는 전통 무예라 말 할 수 있으려면, 조선시대에 무술하는 사람에게서 전승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무술을 익힌 다음에야 이를 바탕으로 무예문헌의 그림을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한다. 나는 그런식으로 접근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일본무술의 변형’이 아닌 ‘전통 무술’이 나올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전통 무예라고 자처하는 무예들이 ‘약하다. 배우면 안된다.’ 뭐 이런 말을 하려는게 아니다. 다만 역사를 속이고 전통무예임을 자처하는게 싫을 뿐이다. 태권도와 국술이 세계에서 한국을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한다면 진심으로 박수를 쳐주고 싶다. 이들이 ‘전통 무예’ 가 되기 위해서는 몇 백년간 우리 민초속에 뿌리 내려야한다.

덧말> 혹시 위에서 열거한 무술 중에 제대로 전승 받은 무술이 있다면 양해를 구합니다. 아마도 저의 좁은 견문때문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