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읽은 글에 ‘태껸’이 거슬려서 조사를 좀 해봤다.
우리 고유어 표기에 대체로 거센소리와 된소리가 없다는 점에서 한자의 중국식 발음과 같은 외래어가 우리말화된 경우가 아닌가 추측된다 1938년간 조선어사전에는 택견에 이두표시를 하고 태껸에 보라고 되어 있다 기록상 현재까지 발견됫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재물보(이성지,조선 정조)에는 탁견이라 되어 있고 해동죽지(1921 최영년)에도 탁견이라 되어 있다 해동죽지에 나오는 탁견희는 한자로 표기된 유일한 예다 해동죽지가 칠언 절구의 한시로 되어 있고 주석에 한글로 탁견이라고 한것을 미루어 보아 탁견은 단순히 한자의 독음을 취한것으로 볼수 있다
송덕기는 탁견이라 하고 탁견하는 사람을 택견꾼이라 부른다고 증언하였다 그러나 고령자로서 택견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택견이 맞다고 하고 표준어 책정 사업에 참여한 서울 토박이 지식인들도 한결같이 택견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한가지 유의할것은 택견이나 이와 유사한 용어가 서울가 경기 일원을 제외한 다른 지방에서는 사용된 예가 발견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제반 사정에 비추어 보면 기록에 명기되어 있는 탁견이 실제로는 택견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는 ㅏ를 ㅐ로 발음하는 서울 사투리의 한사례가 아닌가 한다 서울 경기의 서민층에서 학교를 핵교로 아지랑이를 애지랭이로 발음하고 있고 아기와 씨름을 결합하여 애기씨름이라고 한것으로 보아 탁견도 택견으로 변음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택견으로 표기된 것으로는 1919년 자산 안확이 저술한 조선무사영웅전이 있고 1918년에 제작되어 1921년에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어사전에도 택견으로 기재돼어 있다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부터 사전에는 태껸으로 표기되어 왔는데 1983년 문화재 지정 당시 택견으로 정하였다.
—————————–출처 : 빛깔있는 책들 ‘택견’—————————–
이 글을 쓴 대한 택견 협회장 이용복씨의 정통성에 대해서는 말들이 많지만 용어 표기에 대해서는 좋은 자료인 것 같아서 옮겼다.
요약하자면, 옛문헌에 ‘탁견’,’태껸’,’척견’,’택견’등을 찾아 볼 수 있고, 서울 사투리로 인해 ‘탁견’→’택견’으로 바뀐 듯 하고, 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사전에는 ‘태껸’으로 표기되었지만 이후 문화재 지정당시 ‘택견’을 표준 표기로 하였다.
이에 덧붙이는 내 생각은, ‘태껸’은 사전에 나와있고 ‘택견’은 문화재로 지정된 이름이니 둘 다 맞는 표현이다.
그러나 사실상 택견을 가르치는 택견 단체들이 ‘택견’이란 표기를 쓰다보니 ‘택견’이라는 표기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택견’이라 쓰되, ‘태껸’이라는 표기도 인정을 해야겠다.
덧말> 사전들은 뭐하나? ‘택견’이 얼마나 많이 쓰이는데 표제어로 넣지도 않고…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