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과학 혁명
- 전통 지식과의 차이점
- 무지를 인정
- 관찰과 수학
- 기술 개발
- 정치 사회적 질서 안정 노력
- 궁극적 진리로 선포(공산당, 나치 등)
- 과학과 무관하게 사는 것
- 진보의 시작
- 프랭클린이 번개를 향해 연을 띄움
- 기아 탈출
- 금성의 ‘식’을 관찰하기 위해 타히티에 천문학자를 보내면서 다른 과학자들도 동승
- 서구 사회의 사회 정치적 구조가 과학 혁명을 낳았다.
- 최초의 근대인 아메리고 베스푸치: 인도가 아니다, 신대륙이다.
- 제국의 지식: 진보이자 재앙
- 근대 경제사: ‘성장’ (커지는 파이)
- 아담 스미스: 이기주의가 이타주의. 재투자라는 틀린 가정
- ‘자본'(재투자) != ‘부'(비생산적)
- 프랑스의 ‘미시시피 버블’ => 영국의 도약
- 자본 = 신용: 나라의 신용등급이 천연자원보다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큼
- 자유 시장은 어불성설: 시장을 유지하는 건 정치 체제
- 농업혁명을 되돌릴 수 없듯, 자본주의도 되돌릴 수 없다. (인공지능도?)
- 산업혁명: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
- 생존이 보장되어도 정서적 욕구는 사라지지 않음
- 중세: 년도와 시간에 무관심, 현대: 절기에 무감각
- 가족과 공동체 붕괴, 개인과 국가 강화 => 개인은 착취당한다. 소외당한다.
- 상상의 공동체: 국민과 소비 공동체
- 평화의 이유
- 극대화된 전쟁의 대가
- 비물질적인 전리품
- 주관적 행복? 화학적 행복? 불교에서는 외적/내적 조건의 초월
- 뇌와 컴퓨터 연결(Elon Musk)
-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평등한 시대. 그러나 불평등을 창조할 만반의 태세(DNA변형)
두껍지만 재미난 책이었다.